2023. 1. 2. 00:22ㆍ클라우드 컴퓨팅
이번 글에서는 아주 간단하게 애저 가상머신 만들어보도록 한다.
우선 Azure Portal 사이트로 이동한 후 아래와 같이 체험 계정 만들기를 클릭하자.
아래와 같이 계정을 만들 수 있는 창이 나타나는데 계정이 없다면 체험계정을 만들자.
GitHub 아이디가 있다면 해당 아이디로 로그인만 하면 되니까 편하다.
로그인하고 나면 자동으로 아래 화면으로 이동하는데 가상머신을 클릭해주자.
혹시 위의 화면이 안나온다면 아래 화면과 같이 가상머신을 검색해서 클릭하자.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텐데 만들기 클릭 후 Azure 가상 머신을 클릭하자.
그 후 아래 화면에서 새로만들기 클릭 후 가상머신을 관리할 리소스 그룹을 만들어주도록 하자.
필자는 윈도우즈 가상머신을 만들거라 Wins로 만들었다.
그 후 아래처럼 설정한다. (가상머신 이름은 다르게 적어도 된다.)
이미지는 가상머신에 설치될 OS를 의미하는데 필자는 윈도우 10으로 설정했다.
* 이미지를 윈도우 10 선택 시
그리고 아래로 쭈욱 내려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아래 내용대로 설정하자.
관리자 계정은 OS 관리자 계정을 의미하니까 신중하게 기입하자.
검토 +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아래의 화면으로 이동하는데 시간당 가격을 확인하고 만들기를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배포가 완료되었다는 화면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리소스로 이동을 클릭한다.
만일 OS가 윈도우라면 연결을 클릭하고 RDP를 선택한다.
그러면 RDP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오는데 RDP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해당 파일로 접속하면 된다.
접속시에는 위에서 설정한 OS의 관리자 계정으로 접속한다.
* 이미지를 리눅스 선택 시
만일 OS를 리눅스로 선택했다면 아래처럼 설정한다.
가격 확인 후 만들기 버튼을 클릭한다.
배포가 완료되면 리소스로 이동한다.
리소스 화면에서 공용 IP 주소를 확인하자.
WinSCP나 putty 같은 프로그램으로 위의 공용 IP 주소와 가상머신 생성시 설정했던 관리자 계정 주소로 로그인한다.
그리고 시간당 가격이 책정되므로 (비록 지금은 체험계정이라 무료이지만) 사용을 안할 때는 아래처럼 가상머신을 중지시켜두도록 하자.
'클라우드 컴퓨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Microsoft Entra ID로 기업용 인증 기능을 구현해보자 1편 (feat Blazor) (2) | 2024.02.10 |
---|---|
[Azure] 딥 러닝을 위한 가상머신을 만들어보자 [엔비디아 GPU 드라이버 설치] (2) | 2024.01.22 |
[Azure] 딥러닝을 위한 가상머신을 만들어보자 [엔비디아 GPU 1편] (2) | 2023.12.19 |
[Azure] 딥러닝을 위한 가상 머신을 만들어보자 (0) | 2023.05.06 |
[Azure] Azure Database for MySQL 서버 기능을 사용해보자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