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7)
-
[Azure] Microsoft Entra ID로 기업용 인증 기능을 구현해보자 2편 (feat Blazor)
연달아서 글쓴다. 아마 그룹 관련 내용까지 포스팅 하면 3편까지 가야할 것 같은데 일단 진행해보자. 일단 이전 글을 안읽고 온 사람은 읽고 오도록 하자. 2024.02.10 - [클라우드 컴퓨팅] - [Azure] Microsoft Entra ID로 기업용 인증 기능을 구현해보자 1편 (feat Blazor) [Azure] Microsoft Entra ID로 기업용 인증 기능을 구현해보자 1편 (feat Blazor) 그동안 업무가 바빠서 평소처럼 블로그에 소홀 했었는데, 이제 연휴라 귀차니즘을 이겨내고 글 한편 쓰기로 했다.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인증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거 알 거다. Azure 역시 forsoftwaredev.tistory.com 이제 App.razor 파일로 들어간 다음에 아래..
2024.02.10 -
[Azure] Microsoft Entra ID로 기업용 인증 기능을 구현해보자 1편 (feat Blazor)
그동안 업무가 바빠서 평소처럼 블로그에 소홀 했었는데, 이제 연휴라 귀차니즘을 이겨내고 글 한편 쓰기로 했다.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인증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거 알 거다. Azure 역시 인증 관련된 기능을 매우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주는데, 오늘은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자. 우선 준비물은 아래와 같다 1. Visual Studio 2022 2. Azure 계정 Azure 계정이 없다면 하나 만들도록 하자. 필자의 관점으로는 앞으로 모든 시스템에 클라우드가 융합 될거니까 클라우드 계정 하나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이건 개발자라면 옵션이 아니라 필수다. 자 위 준비물 다 준비했으면 이제 따라하기만 하면 된다. 원래 암 것도 모를 땐 흉내부터 내는 거다. 우선 이미 생성된 프로..
2024.02.10 -
[Azure] 딥 러닝을 위한 가상머신을 만들어보자 [엔비디아 GPU 드라이버 설치]
오랜만에 글 한편 또 쓴다 이번에는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 못했던 엔비디아 GPU 드라이버 설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간단하니 이번 포스팅은 금방 끝날 듯 하다. 우선 엔비디아 GPU 달린 가상머신을 설치하도록 하자 참고로 필자는 아래처럼 생성했다. 혹시나 엔비디아 GPU 달린 가상머신 생성 방법을 모르겠다면 아래에 이전 포스팅 2개를 순서대로 정독 하고 이 글을 읽도록 하자 2023.01.02 - [클라우드 컴퓨팅] - [Azure] 애저 가상 머신을 만들어보자 - 기본 [Azure] 애저 가상 머신을 만들어보자 - 기본 이번 글에서는 아주 간단하게 애저 가상머신 만들어보도록 한다. 우선 Azure Portal 사이트로 이동한 후 아래와 같이 체험 계정 만들기를 클릭하자. 아래와 같이 계정을 만들 수 ..
2024.01.22 -
[Azure] 딥러닝을 위한 가상머신을 만들어보자 [엔비디아 GPU 1편]
자다 일나서 개발 좀 하다 글 한편 또 써본다. 사실 이번 주제는 한 3개월 전에 쓸려고 생각했었는데, 귀찮아서 미루고 미루던 중 마소가 Azure에 GPT 4를 통합하질 않나 Windows AI Studio를 내질 않나 마소의 AI에 대한 투자가 너무도 공격적이라 이러면 사람들이 마소 기반 AI 플랫폼에 많이 몰려들거 같아서 귀차니즘을 이겨내고 작성하기로 마음먹었다. 이전에 내가 쓴 글은 NVIDIA 기반이 아니라 AMD 기반 GPU이기에 NVIDIA 기반에서만 동작하는 AI 모델을 사용할 때는 별로 쓸모없는 정보였음을 인정한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AZURE에서 NVIDIA 기반 가상머신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하는데, 클릭 몇 번만 하면 되니까 한번 따라해 보도록 하자 우선 port..
2023.12.19 -
[Azure] 딥러닝을 위한 가상 머신을 만들어보자
요즘 딥러닝 프레임워크 실습환경으로는 구글 코랩이 대세다. 아니... 요즘이 아니라 오래되었다 그런데 코랩은 흠... 파이썬이랑 tensorflow에 최적화 되어 있어서 나 같은 C# 유저에겐 사실 그림의 떡이기도 하다. 그래서 C# 친화적인 Azure 에서도 코랩과 비슷한 게 있는고 하고 검색해보니 그나마 적당한 게 하나 보여서 이에 대해 포스팅 해 볼 생각이다. 기본 아이디어는 별거 없다 그냥... 가상머신 하나 만드는데 가상머신 만들 때 GPU 최적화 된 가상머신으로 만드는 것 뿐... 그 이후에 그 환경에서 뭘 하든지는 호갱 마음 고로 일단 Azure에서 가상머신을 만들 줄 알아야 한다. 모른다면 아래 포스팅을 통해 실습 한번 하고 오자. 얼마 안 걸린다 [Azure] 애저 가상 머신을 만들어보자..
2023.05.06 -
[Azure] Azure Database for MySQL 서버 기능을 사용해보자
이번 글에서는 Azure Database for MySQL 서버 기능을 사용해보도록 하자. 이 기능은 뭐하는 기능이냐 하면 Azure 플랫폼에 MySQL 서버를 설치한 다음 고객에게 해당 서버를 대여해주는 기능으로 그냥 DB서버 하나 만든다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이걸 왜 쓰냐면... 설치도, 설정도 알아서 다 해주고 무엇보다 클라우드 플랫폼에 통합되있다 보니 나중에 자신이 만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수에 따라 DB 서버 성능이나 용량에 변화를 주고자 할때 클릭 몇번만으로 설정을 바꿀수 있으니 대단히 편하다!! (물론 가격에 변화가 생긴다) 그럼 이제 시작해보자. 우선 자신이 Azure 계정이 없다면 아래와 같이 Azure 계정부터 만들도록 하자 Azure Portal 사이트로 이동한 후 아래와 같이..
2023.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