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 Azure Database for MySQL 서버 기능을 사용해보자

2023. 3. 22. 15:36클라우드 컴퓨팅

이번 글에서는 Azure Database for MySQL 서버 기능을 사용해보도록 하자.

이 기능은 뭐하는 기능이냐 하면 Azure 플랫폼에 MySQL 서버를 설치한 다음 고객에게 해당 서버를 대여해주는 기능으로 

그냥 DB서버 하나 만든다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이걸 왜 쓰냐면... 설치도, 설정도 알아서 다 해주고 무엇보다 클라우드 플랫폼에 통합되있다 보니 나중에 자신이 만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수에 따라 DB 서버 성능이나 용량에 변화를 주고자 할때 클릭 몇번만으로 설정을 바꿀수 있으니 대단히 편하다!! (물론 가격에 변화가 생긴다)

 

그럼 이제 시작해보자.

우선 자신이 Azure 계정이 없다면 아래와 같이 Azure 계정부터 만들도록 하자

 

Azure Portal 사이트로 이동한 후 아래와 같이 체험 계정 만들기를 클릭

 

아래와 같이 계정을 만들 수 있는 창이 나타나는데 계정이 없다면 체험계정을 만들면 된다.

GitHub 아이디가 있다면 해당 아이디로 로그인하자 바로 연동되서 체험계정이 만들어진다.

 

 

로그인하고 나면 자동으로 아래 화면으로 이동하는데, 아래 이미지처럼 검색창에서 azure mysql 을 입력한 후에 클릭해주도록 하자.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이동하는데 만들기를 클릭하자.

 

 

그러면 아래와 같이 유연한서버랑 워드프레스 어쩌고가 나오는데 유연한서버의 만들기를 클릭해주자.

 

 

그러면 MySQL 서버를 생성하기 전에 아래와 같이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나오는데, 빨간색 네모박스에 있는 것들은 다 입력해주도록 하자.

  • 리소스 그룹 : 자신이 만들어둔 리소스 그룹이 있으면 해당 그룹을 사용해도 되고 없다면 새로만들기 클릭 후에 만들어주자
  • 서버이름 : db 서버 이름이다. 유효성 검사기가 아주 까칠하니 잘 입력해주자
  • 지역 : 서버가 생성될 지역 자신이 만드는 서비스가 불법이라면 혹시 모르니 Korea South 는 선택하지 말자. 필자는 포르노 사이트 만들 생각이라 노르웨이 지역에 만들었다. (개인적으로 일본쪽이 속도체감도 거의 없고 좋은거 같았음)
  • MySQL 버전: 8.0으로 하자 5.7과의 차이점은 검색해보도록 하고... 8.0이 5.7보다 더 빠르고 좋단다 8.0으로 하면 된다

 

 

아참 워크로드 유형에 따라 우측에 나오는 월마다 내야되는 돈이 달라지니까 잘 보고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관리자 이름에 admin 이나 root는 절대 입력하지 말자 입력하면 배포시에 오류난다 admin 이나 root는 피하고 다른 이름 입력하자

다음은 관리자 정보를 입력하는 곳인데 관리자 정보이기 때문에 신중히 입력하도록 하고 관리자 정보를 다 입력했다면 다음: 네트워킹을 클릭하자

 

네트워킹에서는 방화벽 규칙만 설정하면 된다.

방화벽 규칙에서 우선 Azure 내의 모든 Azure 서비스의 이 서버에 대한 퍼블릭 액세스 허용 체크박스를 선택해주도록 하자. 이게 뭐냐면 같은 Azure 서버끼리는 접속 계정만 안다면 그냥 접속할 수 있도록 방화벽을 풀어주는거다.

나중에 웹앱서비스도 Azure를 선택하면 이거 선택 꼭 해줘야 편하다.

 

선택했다면 두번째로 아래처럼 현재 클라이언트 IP 주소 추가 버튼을 클릭해주도록 하자

필자는 이미 클릭해서 흑색이 되어 버렸는데 클릭 안했다면 파란색으로 뽀송하게 클릭해주고 싶게끔 보일거다

클릭해서 추가했다면 검토 +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주자

 

 

이제 거의 다 왔다

아래 빨간색 네모박스 내용들만 한번 더 확인해주도록 하자

특히 금액은 가장 중요하니까 단위까지 두번 더 확인하자

 

 

문제없다면 만들기 버튼 클릭!

하면 칙촉칙촉칙칯칙촞촙 하면서 배포 시작하는데 좀 걸리니까 이쯤에 똥 한번 싸고 오자. 그러면 아래처럼 화면이 이동해 있을텐데 리소스로 이동 눌러주자

 

 

리소스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서버 이름 그리고 서버 관리자 이름을 주시하자

 

https://www.heidisql.com/ 로 가서 heidi sql 프로그램 설치하고 

서버이름과 관리자 계정을 아래와 같이 입력하자

 

 

근데 접속하려고 하면 아래처럼 오류가 발생할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좌측 메뉴에서 서버 매개 변수로 들어간 후에 require_secure 를 검색하자

검색해보면 매개변수 이름 란에 require_secure_transport 가 보이는데 OFF 로 설정하고 저장하자

 

 

그리고 나면 다시 배포를 시작하는데 아래처럼 배포가 완료됐다고 할때까지 기다리자

 

 

배포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고 heidi sql로 다시 접속해보면 아래와 같이 잘 접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