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zor(3)
-
[Blazor] MudBlazor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게 설정해보자
요즘 평소답지 않게 블로그에 글 많이 쓰는데,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론보다는 도구들 사용법 위주로 글을 쓰는 게 느껴진다. 아무래도 이제 점점 AI와 같은 수많은 도구의 발달로 인해 원론적인 부분에 대한 깊은 이해보다는 그냥 도구를 잘 다루는게 더욱 중요해지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 싶어서 요즘 내가 살아온 방식과는 다르게 도구들 위주로 공부해서 그런 거 같다. (이런 종류의 글이 작성하기가 편해서가 아니다.) 자 어찌됐건 오늘도 MudBlazor 라는 도구를 사용할 수 있게끔 설정해보도록 하자. Radzen 이 있는데 뭔 MudBlazor를 사용하냐고 말할 수 있는데, Radzen이랑 MudBlazor는 같이 사용가능 하니까 거부감 갖지 말자. 어쨋든 Blazor WASM로 새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는데, 장..
2024.02.12 -
[Azure] Microsoft Entra ID로 기업용 인증 기능을 구현해보자 2편 (feat Blazor)
연달아서 글쓴다. 아마 그룹 관련 내용까지 포스팅 하면 3편까지 가야할 것 같은데 일단 진행해보자. 일단 이전 글을 안읽고 온 사람은 읽고 오도록 하자. 2024.02.10 - [클라우드 컴퓨팅] - [Azure] Microsoft Entra ID로 기업용 인증 기능을 구현해보자 1편 (feat Blazor) [Azure] Microsoft Entra ID로 기업용 인증 기능을 구현해보자 1편 (feat Blazor) 그동안 업무가 바빠서 평소처럼 블로그에 소홀 했었는데, 이제 연휴라 귀차니즘을 이겨내고 글 한편 쓰기로 했다.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인증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거 알 거다. Azure 역시 forsoftwaredev.tistory.com 이제 App.razor 파일로 들어간 다음에 아래..
2024.02.10 -
Radzen 라이브러리 설정
요즘 배우지도 않은 웹 공부를 하고 있는데 (본인은 전공이 시스템 계열이다), 주력 언어가 C# 이다보니 새로운 언어를 배울 필요 없이 C#으로 웹의 프론트, 백엔드 모두 개발 할 수 있는 개발 툴을 찾다가 Blazor 를 알게 되었다. 기본적인 내용 좀 공부하고 이제 좀 복잡한 UI 를 만들어야 하는데, 직접 만들고 싶지 않아서 (필자는 시스템 (백엔드) 전공이다) 무료 UI 툴을 찾다가 Radzen (https://www.radzen.com/blazor-components/) 이라는 툴을 알게 되었고, 기본적인 포팅법을 기록해두려고 한다. 참고로 필자는 Blazor Webassembly 프로젝트를 생성하였다. 1. Visual Studio의 Nuget에서 Radzen을 검색해서 Client 프로젝트에..
2023.03.08